본문 바로가기

개발자2

Postman 제대로 써보기 – 실습으로 배우는 API 요청 흐름 안녕하세요.긱코드입니다. 이번 글을 쓰게 된 계기는실제 업무 중 발생한작은 이슈 때문이에요. API 요청을보내야 하는 상황이었고, 평소처럼 Postman에서raw JSON으로 데이터를 넣었는데아무리 해도응답이 오지 않았거든요. 결국 명세서를 다시 보니이번엔x-www-form-urlencoded 방식이었던 거죠. 왜 안 되는지 모르고 헤맸던 그 순간을 지나고 나니, "아, 이건 정리해서다음에 다시 보거나팀원에게 공유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지금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개발을 하다 보면,API를 호출해보고응답을 직접눈으로 확인해야 할 일이정말 많아요. 특히 백엔드와 통신하는 구조를 다루거나외부 API를 연동할 때는이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게 되죠. 이럴 때 .. 2025. 7. 15.
비즈니스 로직 비즈니스 로직 정의 위키백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있다. 비즈니스 로직 (Business logic)이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세계의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표시·저장·변경하는 부분을 일컫는다. 유저가 바라는 결과물을 올바르게 도출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과정이기에 프로그래밍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이며, 응용 프로그램의 핵심이 된다. 비지니스 로직은 유저가 바라는 결과물을 코드로 옮기므로 코드가 자주 변경되므로, 코드 품질도 매우 중요합니다. 비지니스 로직이 정리되지 않고 이곳 저곳 산재 배치되면, 코드 관리가 어려워지고, 개발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생산성, 품질등이 저하 된다. 비즈니스 로직은 정말 중요하지만, 유지보수 와 확장성을 고려한 코딩을 하기란 쉽지 않습니.. 2022.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