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지식관리 시스템 설계

V2O_지속 가능한 루틴을 위한 개인 실행 구조 설계서

GeekCode 2025. 4. 14. 15:44
반응형

> Image generated using Midjourney. © 2025 GeekCode (Bang Hyeonseok).

 

✨ 시작하며

매년 목표를 세우곤 했지만, 어느 순간 흐지부지 끝나버리기 일쑤였어요.  

'왜 이걸 하고 있지?'라는 질문 앞에서 멈춘 적도 많았고요.  

 

그래서 저는 비전에서 실행까지, 그리고 회고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흐름을 설계하게 되었어요.  

 

쉽게 말해, ‘못 믿을 나’를 예상하고  

아주아주 작은 목표까지 쪼개서 떠먹여 주는 시스템이에요.  

그게 바로 제가 만든 V2O 시스템입니다.  

 

 

 

🌱 개요

V2O 시스템은 Vision → Objective의 흐름을 통해
비전 선언문에서 시작해 연간 목표, 월간 계획, 주간 실행, 그리고 회고까지
삶의 방향성과 실행력을 함께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입니다.

 

"인생은 방향 없이 바쁘기만 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방향이 없다면 어떤 성과도 결국 공허해지죠."

그래서 이 시스템은 다음의 구조를 갖습니다:

 

 


🧭 흐름 구조

이 시스템은 단순한 목표 달성이 아니라,
비전에서부터 오늘의 실천까지를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아래는 전체 흐름을 요약한 구조도입니다

🧭 비전 선언문
  ↳ 삶 전체의 방향성과 판단 기준
       ↓
🔟 10 Life Domains
  ↳ 삶을 10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균형 있는 목표 설계
  - 영적 / 지적 / 정서 / 신체 / 결혼 / 부모 / 사회 / 직업 / 취미 / 재정
       ↓
🎯 V2O (Vision → Objective)
  ↳ 목표를 일일 실천까지 연결하는 구조
  - 연간 목표 → 반기 → 분기 → 월간 → 주간 → 일일 계획
       ↓
📆 시간관리 시스템
  ↳ 일상을 실행 가능한 단위로 분할
  - Block6 (하루 6블록 계획)
  - 데일리 노트 (기록과 리플렉션)
       ↓
🚀 실행 시스템
  ↳ 행동은 Service 단위로 분류/운영
  - Main Service: 주 수입 기반
  - Global Service: 가능성과 의미 기반
       ↓
📚 I2O 시스템 (Input → Internal → Output)
  ↳ 정보의 흐름을 정리하고 실행으로 전환
  - Capture → 정제 → 통합 → 개발 → 실행 → 공유 → 회고
       ↓
🔁 회고 루프 시스템
  ↳ 모든 단계에서 성과, 변수, 균형을 되짚고 조정
  - 일일 / 주간 / 월간 / 분기 / 연말 회고
  - 평가요소: 리소스 적정성, 양/질, 변수, 대응, 지속 가능성

 

 

 


1. 비전 선언문 → 연간 방향 도출

  • V2O의 시작점은 비전 선언문입니다.
  • 비전 선언문은 나침반처럼 매일의 판단과 실행을 이끌어주는 최상위 기준입니다.
    방향을 잃었을 때 언제든 돌아올 수 있는 기준점이 되죠.
  • 이 선언을 바탕으로 연간 방향성과 각 Life Domain별 목표를 수립합니다.

2. 10 Life Domains 기반 목표 설계

삶을 10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균형 있는 목표를 세웁니다:

  • 영적, 지적, 정서적, 신체적
  • 결혼, 부모, 사회적, 직업적, 취미, 재정

삶은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일, 가족, 건강, 재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삶을 10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마다 의미 있는 목표를 설정합니다.

각 영역마다 최대 3개의 세부 목표를 설정합니다.


3. 실행 항목 및 시기별 계획 수립

큰 목표를 단순히 ‘해야 할 일’로 적어두기만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지기 쉬워요.
그래서 저는 목표를 실행 가능한 과업 단위로 세분화한 뒤,
그걸 시간 단위의 마일스톤 구조로 연결해 나가요.

⬇️ 이렇게 흐름이 이어집니다

  1. 목표를 과업 단위로 나눠요
    • 예: ‘프랑스어 DELF A1 자격증 취득’
      → 기본 어휘 암기, 기초 문법 이해, 듣기 훈련, 말하기 실습, 실전 모의고사 풀이
  2. 상/하반기 기준 마일스톤 설정
    • 전체 목표를 절반으로 나눠
    • 상반기엔 “기초 정복”
    • 하반기엔 “실전 훈련과 시험 준비”로 구성해요.
  3. 각 마일스톤을 분기로 나눠요
    • 상반기 → 1분기: 어휘 + 문법 기본기
    • 상반기 → 2분기: 듣기와 말하기 시작
    • 하반기 → 3분기: 실전 회화, 쓰기 훈련
    • 하반기 → 4분기: 모의고사 풀이, 시험 응시 준비
  4. 월간 계획으로 구체화해요
    • 예:
      • 4월: DELF A1 단어장 600개 완독, 문법 강의 1~10강
      • 5월: 청해 연습, 말하기 파트 실습 시작
  5. 주간 루틴으로 옮겨와요
    • 월간 목표 중에서 이번 주에 처리할 일을 나눠요.
    • 예: 이번 주는 4월 2주차
      • 단어장 Day 6~10
      • 문법 강의 5~7강 보기
  6. 일일 계획으로 실행해요
    • 주간 계획을 블록식스(Block6)나 데일리노트에 옮겨
      하루에 해야 할 ‘구체적인 블록’으로 실행해요.
    • 예:
      • 오전 블록: 단어 암기 Day 7 복습
      • 오후 블록: 문법 강의 6강 듣기
      • 밤 블록: 회화 문장 10문장 소리내어 말하기

이렇게 하면 ‘목표’가 ‘매일 할 수 있는 행동’으로 바뀌어요.
지치더라도 다시 주간 또는 월간 단위로 리셋할 수 있어
흐름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돼요.

언어 공부는 꾸준함이 핵심이에요.
하지만 꾸준함을 만드는 건 ‘세분화된 설계력’이에요.

 


4. 회고 루프 설계

실행은 끝이 아니라, 회고를 통해 다음 단계로 이어져야 완성됩니다.
그래서 저는 매 시점마다 회고를 통해 흐름을 정돈하고 구조를 조정합니다

  • 일일 회고: 오전/오후 루틴 체크
  • 주간 회고: 전반전/후반전 구분 회고
  • 월간 회고: 달성률, 감정 체크
  • 분기/반기 회고: 구조 조정
  • 연말 회고: 키워드/우선순위 도출

🔄 회고 시점별 체크 항목

  • 일일 회고
    • 오전/오후 루틴 체크
    • 블록별 수행 여부 및 실행 감정 메모
    • 예상 못한 변수 발생 여부와 그에 대한 대응 확인
  • 주간 회고
    • 전반전(월수) / 후반전(목토) 루틴 성과 점검
    • 각 Life Domain별 블록 분배 균형 확인
    • Must Do / Want It 체크리스트 수행 여부
    • 변수 발생 기록 및 대처 방식 분석
  • 월간 회고
    • 월간 목표 달성률
    • 루틴 흐름 유지 정도 (지속성/흐름 점수)
    • 체력·시간·재정 리소스 대비 루틴 과부하 여부
    • 진행 중인 Service(행동 단위)들이 내 현실에 맞는지 재점검
  • 분기 / 반기 회고
    • 계획 구조 자체의 적합성 검토
    • 흐름 재설계 여부 판단
    • 장기 목표와 실제 루틴 사이의 일치도 점검
    • 각 Life Domain별 성장 및 소외 영역 확인

 


📋 회고 평가 시스템 요소

각 회고에는 아래 요소를 기준으로 정성적·정량적 평가를 함께 진행합니다.

  • 수행 가능성
    • 지금 하고 있는 루틴과 프로젝트가
      체력/시간/재정 리소스에 맞는가?
  • 양적 평가
    • 얼마나 수행했는가? 블록 수, 체크리스트 달성률
  • 질적 평가
    • 루틴의 만족도, 몰입도, 의미감은 어땠는가?
  • 변수 확인
    • 실행을 방해했던 예외 상황은 무엇이었는가?
  • 대응 전략
    • 변수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 코어 블록만 사수했는가, 계획을 유연하게 조정했는가?
  • 계획 유지 or 수정 여부
    • 다음 주/월에도 이 루틴을 그대로 가져갈지
    • 어떤 부분을 강화·축소·변경할지 결정

이 회고 시스템은 모든 판단의 기준이 되는 ‘비전 선언문’과 10 Life Domains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 회고는 영역별 균형을 회복하고, 현실과 비전의 간극을 좁히는 과정이에요.

 

 

 

 

5. 이 시스템으로 만든 성과들

이 구조를 실천하면서, 몇 가지 눈에 띄는 성과를 경험할 수 있었어요.
정량적인 결과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삶의 균형과 지속 가능성을 체감하게 되었어요.

 

 

정성적 성과

  • 이 구조 덕분에 개발자로서의 진입과 생존이 가능했어요. 개발자가 된 뒤 4년 차까지 흔들리지 않고 기술과 루틴을 함께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더 이상 자기계발이 ‘가족과의 시간’을 침해하지 않게 되었어요.
    유부남으로서 가정을 챙기면서도, 자기 성장 루틴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방향을 잃을 때마다 비전 선언문을 기준으로 다시 흐름을 회복할 수 있었어요.
  • 루틴이 무너지더라도 블록 단위 재정비로 다시 이어갈 수 있었어요.

 

정량적 성과

  • 지식 관리 시스템인 I2O를 구축하게 되었고,
    이 흐름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아이디어, 인사이트를 실행 가능한 프로젝트로 발전시킬 수 있었어요.
  • I2O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구조화 덕분에
    새로운 사이드 프로젝트의 생명주기를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었어요.
  • TIL (Today I Learned)을 매주 2~3회 이상,
    꾸준히 작성하고 축적할 수 있게 되었어요.

 

 

"비전이 있는 삶은 다시 돌아올 수 있는 나침반이 있다."

 

 

 



🧩 다음으로 연결되는 시스템들


V2O 시스템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비전과 목표 설정, 시간 관리, 정보 실행까지의 흐름 속에 놓여 있어요.


👇 아래 문서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각 단계를 더 살펴볼 수 있어요:

  • 🔭 비전 선언문 : 삶의 방향성과 기준을 정의한 헌법  
  • 🔟 10 Life Domains : 균형 잡힌 목표 설계를 위한 10가지 삶의 영역  
  • 🧭 V2O 시스템   현재글: 지속 가능한 루틴을 위한 개인 실행 구조 설계서 
  •  📆 블록식스 : 하루·주간 계획표를 간단하고 유연하게  
  • 🚀 Main / Global Service : 내 행동 단위를 프로젝트로 구체화하기  
  • 📚 I2O 프로세스 : 흘러가는 정보, 어떻게 내 것으로 만들고 실행까지 연결할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