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앱/iOS

TIL 로컬라이징, 써드파티

GeekCode 2022. 3. 19. 22:22
반응형

 

 

 

 

 

1. 로컬라이징

현지화, 그 나라의 실정에 맞추어서 수정하는 것을 로컬라이징 이라고한다.

let us: Go! 세미나 내용 중

앱 내 디자인에 있어, 탭바의 레이블이 사라질 경우 장점은 무엇일까 에 대하여

→ 네이버 웹툰 앱

탭바 하단에 레이블을 생성해두면 해당 나라에서만 사용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여러 나라를 타겟으로 출시하는 경우, 각 나라에 맞게 번역을 해야하는 상황 발생

  • 페이스북 같은 경우는 레이블을 없앤 상태

탭바 하단의 레이블이 사라질 경우, 로컬라이징이 쉬움

본격적인 로컬라이징은 나중에 정리

https://zeddios.tistory.com/368

2. 써드파티(Third party)

써드파티의 위키백과 설명은 아래와 같다.

"기본적으로 '제 3자'를 뜻하는 단어. 이 제 3자가 어떤 분야의 제 3자를 의미하는지에 따라 의미가 나뉜다. 대체로는 제조자와 사용자 이외 외부의 생산자를 가리키는 뜻으로 쓰인다."

서드파티는 해당 분야에 그 분야를 처음 개척했거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등의 주요기업이 아니라

해당 분야에 호환되는 상품을 출시하거나 타 기업의 주 기술을 이용한 파생상품 등을 생산하는 회사들을 가르키는 용어.

스마트폰의 ios를 예로 들면

앱스토어에 들어가있는 앱들은 아이폰의 써드파티이다.(필터링 앱, 사진보정 등)

아이폰 내 번들 앱(캘린더, 메세지 등)은 퍼스트파티 (First party)라고 한다.

 

 

 

반응형